자동차 소모품 교환 주기 알아보기

2월 24, 2023 자동차 관련 정보

자동차를 구매 후 자동차 관리에 관심이 생기신 운전자분들을 위해 자동차 소모품 교환 주기를 알아보려고합니다.

자동차에는 수많은 부품 중 무엇이 소모품인지 알아보고 소모품의 교환 주기를 한방에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동차 소모품 교환 주기 알아야하는 이유

자동차 소모품 관련 지식은 중고차를 구매한 차주분들에게 유익한 정보가 될 수 있습니다. 중고차를 구매하면 차량의 연식과 주행 키로수에 따라 소모품의 수명을 가늠 할 수 있습니다.

중고차를 저렴한 가격에 샀더라도 소모품을 교체할 시기에 있는 중고차들은 소모품 교체 비용도 감안하여야 합니다.

자동차 소모품 알아보기

자동차의 대표적인 소모품은 엔진오일, 미션 오일, 브레이크 액, 배터리, 부동액, 와이퍼, 타이어, 에어컨 필터, 에어컨 가스 등이 있습니다.

차량에 사용되는 소모품이 굉장히 많습니다. 권장 사용 기간을 넘김 소모품은 차량 운행 중 교통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권장 사용에 맞게 사용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엔진오일

엔진오일의 권장 교체 주기는 5,000km에서 10,000km사이이며 운전자의 운전 습관에 따라 엔진오일의 교체주기가 빨라지기도 하고 늦어지기도 합니다.

운전자의 운행 습관이 도심속에서 운전을 하고 비교적 짧은거리만 운행을 하신다면 엔진오일의 교체 주기가 빨라질것 입니다.

미션 오일

자동차에서 제일 중요한 부품은 엔진과 미션(변속기)이라고 합니다. 변속기는 유압으로 자동차의 기어를 변경하기 때문에 오일 관리가 다른 부품에 비해 굉장히 중요합니다. 미션오일은 교체 주기가 온다면 미루지 말고 교환을 해주시길 바랍니다.

미션오일의 적정 교체주기는 40,000km~100,000km 입니다.

브레이크 액

브레이크 액은 차량 제동장치가 잘 작동하도록 도움을 주는 소모품 입니다. 차량제동은 운전자의 생명과 안전에 직결되어있는 매우 중요한 소모품임으로 브래이크 액은 40,000km~100,000km 마다 교환을 해주시길 바랍니다. 교환주기 이전에도 지속적인 점검을 통해 브레이크 액이 부족하다면 보충해주시길 바랍니다.

배터리

자동차의 배터리의 교환 주기는 3~4년 정도이며 차량을 어떻게 관리를 하였는지에 따라 배터리의 수명이 짧아지기도 하고 길어지기도 합니다.

겨울철 차량을 야외 주차장에 세워 둔다면 배터리의 수명을 갉아 먹게 되고, 혹시 배터리가 한번이라도 방전이 된다면 방전된 배터리는 새 배터리로 돌아갈 수 없다고 합니다.

부동액

부동액 관리는 어렵지 않습니다. 주기적으로 부동액의 양을 체크해 주어 혹시모를 누유가 있는지 확인하고 부동액이 부족하다면 보충해주시길 바랍니다.

와이퍼

와이퍼 교체 주기는 기본 1년으로 교체주기를 지나 사용하게 된다면 와이퍼의 고무 부분이 경화 되기 시작하여 유리를 딱는 기능이 떨어지게 됩니다.

와이퍼는 운전자의 가시성과 연관되어있는 소모품으로 교체 주기 전 이라도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있다면 교체를 해주시길 바랍니다.

타이어

타이어 교체주기는 5년 정도로 생각하시면 되고 차량이 주로 운행되는 노면 상태에 따라 타이어의 마모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운전자는 주기적으로 타이어의 마모 상태를 자동차 열쇠 또는 동전등으로 확인해주시길 바랍니다.

최근에 자동차 급발진에 대한 이슈가 있습니다.

자동차 급발진 원인과 대응방법 알아보기 를 읽어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