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엔진오일 관리방법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동차 엔진오일은 자동차의 수명과 직결되어있으며 자동차의 심장인 엔진을 원활하게 작동하는데 도움을 주는 오일입니다.
오래된 차들은 엔진오일을 재때 갈아주었는지의 차이로 엔진의 소리가 다르므로 엔진관리하는데 엔진오일의 기본지식은 차량 운전자에게 필수적 필요한 지식입니다.

자동차 엔진오일 관리방법
초보 운전자들에게 자동차 관리는 어려운 일입니다. 전문가가 아닌이상 수 많은 자동차의 부품들은 너무 낯설기 마련이고 차에 문제가 생겼을때 어디가 어떻게 망가졌는지 조차 가늠하기 힘듭니다.
수 많은 자동차 부품중 엔진이 원활하게 제기능을 할 수 있도록 오일을 넣어주는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엔진오일 관리 필요성
일부 운전자들은 자동차가 굴러가기만하면 되지 뭔 관리냐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동차는 기게임으로 시간이지나면 각종 부품이 부식되고 녹슬기 마련입니다.
엔진역시 기계임으로 사용을 하다보면 기계끼리의 마찰로 인하여 엔진 내부에 찌꺼기와 먼지들이 쌓이게 되어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렇한 찌꺼기와 먼지들이 엔진내부에 쌓이면 엔진의 성능 저하와 자동차 주행 연비가 떨어지게 되고, 엔진에서 철 부딪히는 소리가 들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엔진오일 역할
자동차 엔진 오일의 역할을 알아보도록하겠습니다. 엔진오일은 엔진 내부에 먼지를 제거해줄 수 있으며 엔진의 움직임을 부드럽게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엔진오일은 기계 끼리의 마찰면에 유막 현상을 만들어 마모를 줄여주고 기계끼리의 마찰을 줄여주어 엔진에 열이 가해지는것을 줄여주게 됩니다.
엔진오일 점검 방법
자동차 엔진오일 점검방법은 엔진오일 레벨 게이지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엔진오일 레벨 게이지는 엔진오일의 잔여량과 오염도를 확인하는것인데요.
가솔린 차량은 잔여 엔진오일 색깔로 오염도를 체크할 수 있습니다. 엔진오일이 많이 오염되어있다면 검정색 빛에 점점 가까워짐으로 처음 엔진오일을 넣을때의 색깔과 비교하여 검정빛에 가까워진다면 적정한 시기에 엔진오일은 교체해주시길 바랍니다.
엔진오일 게이지를 엔진에 넣었다가 뺴보시면 F/L로 잔여 엔진오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L에 가깝다면 엔진오일을 충전해주시길 바랍니다.
엔진오일이 바닥이 난상태로 차량을 운행한다면 엔진의 무리가 가게되고 자동차 수명의 치명적인 악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엔진오일 교체 주기
자동차 엔진오일 교체주기는 운전자의 운행 습관 및 차량의 상태 등에 달라질 수 있습니다. 운전자가 동네 마실용으로 차량을 운행한다고하면 키로수당 교체주기는 짧아지게되며 장거리 운행이나 고속도로 운행이 많은 운전자들은 엔지오일 교체주기가 길어지게 됩니다.
짧은 주행을 많이 한다면 약 5,000km당 엔진오일을 교체해줄 것을 권장드리고, 장거리운행 고속도로 운행이 많으신 운전자분들은 8,000km당 엔진오일을 교체해줄것을 권장드립니다.
특이사항이 없는 보통의 운전자들은 1년에 3~4회 엔진오일을 교체 할 것을 권장드립니다.
엔진오일 교체 주의사항
자동차 엔진오일을 선택할 때 간혹 종류를 섞어 사용하시거나 엔진오일의 종류를 변경을해야도 되는지 물어보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엔진오일을 혼용한다면 윤활유 기능이 저하가 될 수 있으며 윤활 기능이 저하되면 기계끼리 마모가 빨라질 수 있습니다. 이왕이면 한가지 종류의 제품 엔진오일을 사용할 것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