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급발진 원인과 대응방법 알아보기

2월 24, 2023 자동차 관련 정보

뉴스에 한번씩나오는 자동차 급발진 사고 들어보셨을꺼라 생각됩니다. 차량을 운전하시는 분이라면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는 아찔한 일인데요.

운전자가 차량의 급발진 원인과 급발진이 발생했을때 대응 방법을 미리 숙지하고 있다면 위급 상황시 대형사고를 막으실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동차의 급발진 원인과 대응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동차 급발진

자동차 급발진 무엇인가?

자동차 급발진 현상을 모르시는 운전자분들을 위해 간략하게 설명을 해드리겠습니다. 과거와는 다르게 대부분의 차량의 변속기가 오토로 변경됨에 따라 운전자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차량 운행 중 급가속이 일어나는 증상을 말합니다. 급발진을 경험하였던 운전자들 상대로 증상을 알아보면 차량에서 엄청난 굉음과 함께 RPM이 치솟으며, 브레이크가 딱딱해지거나 브레이크 페달이 힘없이 눌려 제동 기능이 정상 작동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자동차 급발진 원인은 무엇인가?

자동차 회사들은 자동차의 결함을 인정하지 않고 있어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많은 차량 정비 전문가들은 차량 제동장치(ECU)의 기능에 오류가 있을때 급가속과 제동 장치 오작동의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합니다.

자동차 급발진시 대응방법 알아보기

운전 중 갑작스럽게 자동차 급발진 하게된다면 대부분의 운전자들은 당황하게 되어있습니다. 호랑이굴에 들어가도 정신만 차리면 산다고 했습니다. 급발진 대응방법 알아보겠습니다.

엑셀과 브레이크 페달 확인하기

차량의 오작동으로 급발진을 주장하는 사건 중 운전미숙으로 확인되는 많은 사례가 있습니다. 운전자가 엑셀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을 착각 하여 발생하는 사고가 있으므로 침착히 엑셀과 브레이크 페달을 확인하여야 합니다.

차량 급발진시 브레이크 페달을 강하게 밟기

운전자의 운전미숙이 아닌 차량 ECU에 오류로 급발진 증상이

나타났으면 운전자는 브레이크 페달을 강하고 깊게 밟아야 합니다. 정상적인 브레이크에는 진공 압력이 들어 있어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살살 밟더라도 힘이 전달되어 차량을 제동하지만 급발진 증상이 나타나면 브레이크에 진공 압력이 들어가지 않아 브레이크는 딱딱하게 굳게 될 것 입니다.

브레이크가 밟히지 않는다고 나누어 밟기보단 차량이 멈출 때 까지 강하게 밟아 주셔야 차량에 속도가 감속됩니다.

기어를 중립으로 변경하고 사이드브레이크 작동

엔진의 힘을 바퀴로 연결되지 않게 기어를 드라이브에서 중립으로 변경을 하여야합니다.

기어를 중립으로 변경하는 것은 차량이 주행중에도 기어를 변경하면 가능하기 때문에 중립으로 변경하여 엔진의 힘을 차단해주셔야 합니다.

기어를 중립으로 변경 후 차량은 바퀴가 굴러가던 힘으로 차량이 앞으로 전진하게 됩니다. 이런 상태로 핸들 조작을 하며 사이드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천천히 차량을 정지 시킬 수 있습니다.

차량 시동 끄기

사실 자신이 운행하던 차량이 급발진한다면 모든것이 당황스러워 아무생각이 안날것입니다. 운전자가 당황하면 곧 바로 큰사고로 이어질 수 있음으로 급발진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비상등을 키고 시동을 끄는것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운행중 시동 끄는 방법은 차량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방법 2가지는 시동버튼을 3번 눌러주는 것과 시동버튼을 지긋이 누르고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위와 같이 차량 급발진 원인과 대응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긴급상황시 이 같은 대응 방법을 알고 모르고의 차이는 생명과 안전에 직결되어 있음으로 매우 중요한 지식입니다.

해당 포스팅이 유익하셨다면 가까운 가족 또는 지인에게 공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자동차 RPM 알아보기